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사이드아웃2' 캐릭터 총정리 영어 이름과 뜻

by zeizeibliss 2024. 11. 10.

인사이드아웃2 영화 포스터

 

2015년 개봉한 픽사 애니메이션 영화 '인사이드 아웃'은 창의적이고 감성적인 렌즈를 통해 인간 마음을 탐색하는 이야기입니다. 주인공은 11살 소녀  라일리. 그녀의 핵심 감정인 기쁨, 슬픔, 분노, 두려움, 혐오(인사이드아웃2 에서는 감정이 추가됨)를 그녀의 마음 속에서 반응과 감정을 통제하는 개별 캐릭터로 의인화하여 표현했습니다. 영화는 관객을 라일리의 마음 속 내부 여행으로 데려가 그녀의 감정, 기억, 생각을 보여주며 감정이 어떻게 서로 상호 작용하여 그녀의 행동과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줍니다. 

 

'인사이드 아웃' 의 의미

우선 inside out의 뜻은 "안에서 밖으로"라는 뜻입니다. inside out : (안팎을) 뒤집어 - 즉 '안에 있는 것이 밖으로 뒤집어 꺼내져 있다', '뒤집어져 있다'는 뜻입니다. '인사이드 아웃'이라는 표현은 표면 아래에 숨겨진 것을 드러내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영화 전반에 걸쳐 라일리의 감정이 드러나면서 슬픔과 같은 겉보기에 부정적인 감정도 우리 삶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즉, 영화는 우리가 기쁨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에만 집중해야 한다는 개념과 반대로 감정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효과적으로 '뒤집'어 놓습니다. 또한 이 이야기는 라일리의 정서적 성장에 관한 것입니다. 그곳에서 그녀는 더 복잡하고 미묘한 자신의 감정에 대해  받아들이는 법을 배웁니다. 영화가 끝날 무렵 라일리의 감정 세계는 단순한 흑백 관점에서 더욱 풍부하고 통합된 관점으로 성장하게 되는데, 이 영화의 메세지는 우리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위해 내면의 세계를 뒤집어 놓는 일이 매우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합니다. 

 

심리학적 전문 지식과 멋진 스토리텔링의 결합

디즈니픽사는 소녀의 감정을 다루는 획기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을 기획하면서 캐릭터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있어 깊이를 더하기 위해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 교수인 '대커 캘트너(Dacher Keltner)' 에게 전문 지식을 구했습니다.
특히, 캘트너는 슬픔이 인간의 결속력과 공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픽사 제작진은 영화에서 감정을 묘사할 때 슬픔에 더 중요한 역할을 부여하도록 이끌었습니다.

[부정적 감정의 중요성] 
'인사이드아웃'의 원래 컨셉은 처음에 라일리의 행동 뒤에 있는 주요 원동력으로 묘사된 Joy에 중점을 두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캘트너는 슬픔이 이야기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는 슬픔은 단순히 피해야 할 부정적인 감정이 아니며, 공감, 사회적 유대감,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그의 제안은 슬픔과 같은 감정이 실제로 관계를 강화하고 사람들을 더 가깝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기쁨이(Joy)와 공동 주인공으로 슬픔이(Sadness) 가 부각되는 스토리텔링으로 발전했습니다. (특히 인사이드아웃 2에서 슬픔이는 사건 해결에 큰 도움을 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감정의 복잡성] 
캘트너가 제안한 또 다른 중요한 조언은 인간 감정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감정은 종종 서로 섞이고 고립되어 존재하지 않는다고 제안했습니다. 즉 여러 감정이 하나의 기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영화의 '감정 기억 영역'에 훌륭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미묘한 관점을 통합하는 것으로 픽사 제작진은 감정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고 인간 경험을 형성하게 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 

 

'인사이드아웃 2' 줄거리

인사이드아웃의 후속작으로 9년 만에 개봉한 '인사이드 아웃 2'는 13살, 사춘기에 접어든 된 '라일리'의 머릿속 감정 컨트롤 본부에 기존 감정인 '기쁨', '슬픔', '버럭', '까칠', '소심'이와 더불어 새로운 감정들이 찾아온다는 신선한 설정으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그 새로운 감정은 바로 '불안', '당황', '따분', '부럽'. 이 낯선 감정들이 새롭게 등장하면서 평화롭던 일상이 깨지고 큰 위기를 맞게 됩니다. 
 

'인사이드아웃2' 캐릭터 총정리 영어 이름과 뜻

'인사이드아웃2'의 개성 넘치는 캐릭터들의 영어이름과 그 캐릭터들의 성격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인사이드아웃 2의 각각의 캐릭터 모습

 
우선 기존 감정 캐릭터는
 
(1) Joy 기쁨이
라일리의 마음속에서 가장 밝고 긍정적인 존재입니다. 항상 활기차고, 라일리가 행복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인데요. 기쁨이는 라일리의 좋은 추억들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활동합니다. 
 
(2) Sadness 슬픔이
조금 부정적으로 보일 수 있는 캐릭터지만 슬픔이도 라일리의 감정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슬픔이는 라일리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타인과 깊은 연결을 맺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줍니다. 상당히 기억력이 좋고, 사건 해결에 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3) Anger 버럭이
라일리가 불공평하거나 잘못된 상황에 처했을 때 나타나는 감정입니다. 분노는 자신의 의견을 분명히 하고, 자신을 지키는 데 필요한 역할을 합니다.
 
(4) Disgust 까칠이
라일리가 불쾌한 것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도록 돕는 감정입니다. 까칠이는 라일리가 나쁜 결정을 피하고, 사회적으로 엇나가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인사이드아웃2'에서 등장한 새로운 캐릭터
 
(5) Fear 소심이
라일리가 위험한 상황을 피하고 안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고하는 역할을 하는 두려움입니다. 때로는 과도하게 반응할 수 있지만 라일리를 보호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6) Anxiety 불안이
'인사이드 아웃 2'의 가장 주목받는 새 캐릭터 중 하나입니다. 불안은 라일리가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마주하게 되는 새로운 감정으로, 라일리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극복하며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심이는 눈에 보이는 것(can see)에 대비하는 역할을 하는데 반해 불안이는 눈에 보이지 않은  (can't see)에 대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7)Embarrassment  당황이
당황이는 사춘기의 일반적인 감정 중 하나로, 라일리가 사회적 상황에서 느끼는 민망함과 당혹감을 표현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라일리가 다양한 당황스러운 상황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인사이드아웃 2'에서 슬픔이와 당황이의 캐미도 놓칠 수 없는 볼거리입니다.
 
(8)Ennui 따분이
일상의 단조로움과 새로운 자극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캐릭터인데요. 따분이는 이외로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다른 감정들을 깜짝 놀라게 합니다.
 
(9) Envy 부럽이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며 느끼는 감정을 대변하는 캐릭터입니다. 부럽이는 라일리가 사회적 관계를 넓혀가면서 겪게 되는 복잡한 감정 중의 하나입니다. 

 

 

캘시만 감독이 밝힌 기획 과정

켈시 만 감독은 자신의 어린 시절 경험은 물론 현재 사춘기를 지나고 있는 15살, 16살의 자녀들의 모습을 관찰하며 이야기의 디테일을 높였다는 비하인드를 밝혔습니다.
'인사이드아웃 2'는 사춘기에 생기는 복잡한 감정 중에서도 '불안'을 메인 감정으로 삼았는데, 그는 '불안'이라는 감정은 10대 청소년이 되면서 마주하게 되는 대표적인 감정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감정이라는 점에서 '불안'을 메인 감정으로 설정했다고 전했습니다. 10대 청소년의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한 끝에, 일꾼들이 감정 컨트롤 본부를 부수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이야기를 확장해 나갔다고 하며,  "'불안'은 처음부터 이 이야기의 일부였지만, 지난 몇 년의 시간이 우리 모두에게 특히 청소년들에게 끼친 영향을 생각하면 지금이야말로 '불안'이라는 감정에 대해 이야기할 적기라고 느껴졌다"라고 전했듯이 팬데믹 시기를 겪은 모두가 가장 깊게 공감할 수 있는 '불안'이라는 감정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들고자 노력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영화는 인간의 감정이 얼마나 복잡하게 얽혀있는지 그리고, 그 감정들이 의사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인간 관계 및 개인 성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탄탄한 스토리텔링과 엮어 어린이와 성인 모두가 복잡한 심리학 개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우 완성도 높은 작품이라 생각됩니다.